韓 수면 지수 50위.. ‘꿀잠’ 포기한 현실

이케아는 전 세계 사람들의 수면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면의 질, 수면 시간, 수면에 걸리는 시간, 수면 흐름, 기상 컨디션 등 총 다섯 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0~100점 척도의 수면 지수를 산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수면 지수는 59점으로 전 세계 평균(63점)보다 낮았으며, 57개국 중 50위에 그쳤다. 수면 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74점을 기록한 중국이었으며, 최하위는 56점을 기록한 노르웨이가 차지했다. 특히 한국은 스스로 평가하는 수면의 질이 가장 낮은 국가로 조사됐다. 본인의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17%에 불과해 조사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반면, 이집트에서는 응답자의 64%가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해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부모가 평가한 자녀들의 수면의 질 역시 한국은 낮은 편에 속했다. 18세 미만 자녀의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한 한국 응답자는 38%에 그쳐 전 세계 평균(67%)과 큰 차이를 보이며 최하위를 기록했다. 자녀의 수면의 질이 가장 높다고 평가된 국가는 인도네시아(80%)였다. 또한,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27분으로 조사 대상국 중 네 번째로 수면 부족이 심각한 국가로 나타났다. 평균 수면 시간이 가장 짧은 국가는 일본(6시간 10분)이었으며, 그 뒤를 이스라엘(6시간 21분), 미국(6시간 25분)이 이었다. 반면, 중국은 평균 수면 시간이 7시간 13분으로 조사국 중 유일하게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국가로 기록됐다. 한국인의 기대 수면 시간은 하루 7시간 39분으로 실제 수면 시간과 1시간 이상의 차이를 보였으며, 전 세계 평균 기대 수면 시간과 실제 수면 시간의 격차는 1시간 20분으로 집계됐다.

수면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17%), 불안 장애(12%), 너무 많은 생각(11%), 수면 장애(8%)가 전 세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수면 장애(16%), 온도(15%), 스트레스(14%), 전자기기(12%) 순으로 응답이 집계돼 불면증 및 전자기기의 사용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이 전 세계 평균(수면 장애 8%, 전자기기 3%)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휴대전화 사용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취침 전 필수적인 루틴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전 세계 응답자의 72%가 침실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18~24세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86%까지 증가했다. 한국 응답자의 48% 역시 침실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한다고 밝혔으며, 18~24세 연령층의 경우 73%로 나타나 젊은 층에서 휴대전화 사용 비율이 더욱 높았다.
숙면을 돕는 요소로는 전 세계 응답자들이 규칙적인 취침 및 기상 시간(15%), 평온함과 휴식(13%), 편안한 침대 및 침구(10%)를 꼽았다. 한국에서는 운동(22%)이 가장 효과적인 숙면 요소로 평가됐으며, 규칙적인 취침 및 기상 시간(11%), 소음 감소(6%)가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수면 보조 도구로는 에어컨 또는 선풍기(24%), 암막 커튼 또는 블라인드(21%), 약(19%), 음악·팟캐스트·오디오북(17%)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한국 역시 에어컨 또는 선풍기(34%)를 가장 선호했으며, 암막 커튼 또는 블라인드(22%), 음악·팟캐스트·오디오북(15%), 약(1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주(10%)가 수면 보조 도구로 사용된다는 응답이 전 세계 평균(5%)보다 두 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 세계 응답자의 66%, 한국 응답자의 58%가 깔끔하게 정리된 공간에서 수면의 질이 향상된다고 답해 공간 환경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요소로 분석됐다. 벨렌 프라우 잉카그룹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규칙적인 취침 시간, 정돈된 공간, 숙면을 위한 환경 등은 집에서의 생활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고객의 실생활을 반영한 홈퍼니싱 솔루션을 통해 더 나은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케아는 보고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숙면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말에도 일정한 취침 및 기상 시간 유지하기 ▲조명을 어둡게 하고 편안한 침구를 마련해 아늑한 수면 환경 조성하기 ▲취침 전 전자기기 사용 피하기 ▲과식이나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자제하기 ▲잠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억지로 잠들려 하지 않기 등을 제안했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한국로또 망했다" 이번주 971회 당첨번호 6자리 모두 유출...관계자 실수로 "비상"!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